인터넷/스마트폰 중독이란?
인터넷이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해 과도한 집착이나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고, 이로 인해 일상적인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상태입니다.
인터넷 게임 장애의 DSM-5 진단 기준
8가지 증상 중 5가지가 12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
- 인터넷 게임 몰두
- 게임을 못할 때 금단 증상
- 게임하는 시간이 지속 증가
- 게임을 통제하려는 시도 실패
- 게임 때문에 기존의 취미, 오락거리에 대한 관심 사라져 ‘심리적으로 내가 문제가 있나’라 고 생각하면서도 게임을 과도하게 함
- 가족이나 심리상담사에게 게임을 얼마나 많이 하는지에 대해 거짓말한 적이 있는 경우
- 무기력감, 죄책감, 짜증 등을 해소하기 위해 게임을 함
- 게임 때문에 학업, 직장, 사회관계에 심각한 위기가 생김.
스마트폰 과의존의 부작용
- 스마트폰 과의존은 다양한 심리적 변화나 우울, 불안 등의 증상을 보이게 합니다. 또한 관계나 행동에도 영향을 주게 되어 가상세계에 몰입하여 일상적인 대인관계를 악화시키고 일탈적인 행동을 하게 합니다.
-
스마트폰 과의존은 신체건강에도 영향을 주고, 충동 조절 기능을 담당하는 전두엽의 기능이 저하되어 디지털 기기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기억력과 계산 능력이 저하되는 디지털치매 현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. 또한 지나친 스마트폰 사용으로 수면장애 및 만성피로를 느끼게 됩니다.
스마트폰 과의존 실천 수칙
- 1스마트폰 사용량 측정 기능을 사용하여 스마트폰 사용습관과 사용시간을 점검 합니다.
- Android: 설정 < 디지털 웰빙 및 자녀보호 기능
- ios: 설정 < 스크린타임 > 모든 활동보기
- 2어플은 꼭 필요한 것만 설치 하여 사용합니다.
- 3수업이나 운전 중에는 사용을 금지하고 보행 중에는 사용을 자제 합니다.
- 4스마트폰을 건강하게 사용할 수 있는 규칙을 정합니다.
- 5스마트폰은 잠시 내려놓고 다양한 취미활동에 참여합니다.
다양한 치유, 교육 프로그램
- 여성가족부에서 운영하는 상설 치유학교인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,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과 지역별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인터넷·스마트폰 과의존 기숙치유 프로그램이 있습니다.
-
그 밖에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을 비롯한 전국의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및 학교 등에서 부모님들을 대상으로 자녀들의 인터넷·스마트폰 사용조절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(상설 치유기관)
- 대상
- 인터넷·스마트폰 과다사용 청소년 대상
- 기간
- 1~4주 과정
- 내용
- 심리검사, 개인·집단상담, 가족상담, 부모교육, 대안활동, 자치활동 등
- 문의
-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홈페이지 또는 전화(☎063-323-2646, 2282)로 문의
기숙형 인터넷·스마트폰 치유캠프
- 대상
- 청소년 인터넷·스마트폰과의존 위험군 청소년
- 기간
- 11박 12일
- 내용
- 심리검사, 개인상담, 가족상담, 부모교육, 집단상담, 체험활동 등(프로그램 참가 후 청소년상담 전문가와 연계) 지원 (3개월)
- 비용
- 참여 및 프로그램 무료/식비 등 일부 자부담
- 문의
- 거주지역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또는 청소년상담전화(☎ 1388)로 문의
가족치유캠프
- 대상
- 인터넷·스마트폰과의존 위험군 초등생 및 부모
- 기간
- 2박3일 + 사후모임
- 내용
- 청소년 집단상담, 부모교육 프로그램, 대안활동, 기타 가족활동 등
- 비용
- 참여 및 프로그램 비용 무료, 교통비 등 일부 자부담
- 문의
- 거주지역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또는 청소년상담전화(☎ 1388)로 문의
스마트쉼센터
https://www.iapc.or.kr/bbsList.do?idx=123&BRD_ID=online